본문 바로가기

HScode

2. FTA 품목번호, HS code 확인하기 2. FTA 품목번호, HS code 확인하기 1. 품목번호에 따라 FTA 협정세율이 정해지고 FTA 원산지결정기준 역시 품목번호 별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품목번호 확인은 가장 기본적인 일입니다. 2. 정확한 품목번호를 알기 위해서는 반드시 관세사 등 전문가와 상담 필요합니다. 3. 수출물품의 경우 우리나라와 다르게 분류될 수 있으니, 반드시 수입자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4. 특히 수출상대국의 품목분류 번호는 반드시 수입자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5. 품목번호 확인방법 - 홈페이지(http://call.customs.go.kr) 품목분류 > 품목분류 검색 - 전화(국내 : 1577-8577 / 해외 : 02-3438-5199) - 직접 방문(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71번지 서울세관 10층 - 품목번호 .. 더보기
무역에서 FTA 적용전 준비사항 생각해 보기, HScode, 체결국, 발효, 비준, 국가, 원산지증명서, c/o, 코드, 관세율, 세금 무역에서 FTA 적용전 준비사항 생각해 보기, HScode, 체결국, 발효, 비준, 국가, 원산지증명서, c/o, 코드, 관세율, 세금 무역에서 FTA의 가장 큰 혜택중 하나가 관세철폐 또는 인하입니다. 물건이 수입되어 들어올때 관세가 10% 였던게 0%로 철폐된다면 수입하여 제품을 판매시 그만큼의 수입비용이 줄어들어 시장에 경쟁력있게 제품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 [FTA 적용전 생각해보기] 1. 자신이 수입할 또는 수출할 제품이 무엇인지 정확히 결정합니다. 2. 제품이 결정되었다면 어느 나라에 수출할지 또는 어느 나라에서 수입할지 조사를 합니다. 3. 조사된 국가가 현재 우리나라와 FTA가 체결된 국가인지 확인합니다. 4. FTA가 체결된 국가라고 가정하고, 해당 제품의 HScode를 확인합니다. -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