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무역협정

3. FTA 관세혜택 확인하기 3. FTA 관세혜택 확인하기 1. 수출물품에 대한 정확한 품목분류번호를 찾은 경우 사전에 관세혜택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 일반세율과 협정세율의 차이를 확인해야 유리한 것을 선택 할 수 있습니다. 2. FTA 협정을 적용받지 않았을 때 적용되는 일반세율과 FTA 협정세율의 차이만큼 관세혜택이 발생합니다. * 관세혜택 = (일반세율 - FTA 협정세율) * 수출금액 3. 협정세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협정문 원본에 두 개의 양허안이 존재합니다. - 협정상대국에서 우리나라로 수입하는 양허세율표(우리나라) - 우리나라에서 협정상대국으로 수출하는 경우 상대국 세관에서 운영(상대국) 각 협정별 양허세율 바로가기 더보기
2. FTA 품목번호, HS code 확인하기 2. FTA 품목번호, HS code 확인하기 1. 품목번호에 따라 FTA 협정세율이 정해지고 FTA 원산지결정기준 역시 품목번호 별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품목번호 확인은 가장 기본적인 일입니다. 2. 정확한 품목번호를 알기 위해서는 반드시 관세사 등 전문가와 상담 필요합니다. 3. 수출물품의 경우 우리나라와 다르게 분류될 수 있으니, 반드시 수입자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4. 특히 수출상대국의 품목분류 번호는 반드시 수입자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5. 품목번호 확인방법 - 홈페이지(http://call.customs.go.kr) 품목분류 > 품목분류 검색 - 전화(국내 : 1577-8577 / 해외 : 02-3438-5199) - 직접 방문(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71번지 서울세관 10층 - 품목번호 .. 더보기
1. FTA협정 발효국 여부 확인하기 1. FTA협정 발효국 여부 확인하기 수출자가 FTA 관세 혜택을 수입자(바이어)에게 주기 위해서는 우선 수출하고자 하는 나라가 우리나라와 FTA 협정을 맺고 발효가 되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발요국 여부 한눈에 알아보기 >>> 더보기
FTA 수출자를 위한 순차적인 절차 요약 FTA 수출자를 위한 순차적인 절차 요약 1. FTA협정 발효국 여부 확인하기 2. 품목번호(HS code) 확인하기 3. FTA 관세혜택 확인하기 4. 원산지 결정기준 확인하기 5. 원산지증명서 발급하기 6. 수출 및 관련서류 보관하기 좀더 자세한 내용은 관세청 fta 홈페이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내용 자세히 보기 >>> 더보기
FTA 체결국가 알아보기 (한-미 FTA) FTA 체결국가 알아보기 (한-미 FTA) * 발효일자 : 2007.4.2 타결 (현재 미발효) * 원산지증명서 발급주체 : 자율발급 서식 : 규정된 양식없음 유효기간 : 발급일로부터 4년 제출면제 : $1,000이하 * 원산지 결정기준 자세히 보기 * 역외가공 불인정 * 원산지검증 직접검증 : 정보요청, 서면질의, 방문조사 (섬유제품 예외) FTA 한눈에 보기 >>> 더보기
FTA 체결국가 알아보기 (한-EU FTA) FTA 체결국가 알아보기 (한-EU FTA) * 발효일자 : 2010.10.6 정식서명 (2011. 7월 발효예정) * 협정국 벨기에,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덴마크, 아일랜드, 영국, 그리스, 포르투칼, 스페인, 오스트리아, 핀란드, 스웨덴, 폴란드,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키프로스, 몰타, 불가리아, 루마니아 * 원산지증명서 발급주체 : 자율발급 서식 : 상업서류에 '원산지신고서' 문안 기재 유효기간 : 발급일로부터 1년 제출면제 : 한국 $1,000이하, EU:€500이하 * 원산지 결정기준 자세히 보기 * 역외가공 불인정 * 원산지검증 간접검증 : 수출국 세관에 검증의뢰 및 검증 과정 참관 직접검증 : 공동조사 FTA.. 더보기
FTA협정세율 자동으로 검색하기 - FTA, 협정세율, 관세, 통관세, 원산지결정, 자유무역협정, 지역무역협정, wto, 한미fta, 한칠레fta, 한eu fta, 한국 fta, 칠레fta, 무역, 수입, 수출 FTA협정세율 자동으로 검색하기 - FTA, 협정세율, 관세, 통관세, 원산지결정, 자유무역협정, 지역무역협정, wto, 한미fta, 한칠레fta, 한eu fta, 한국 fta, 칠레fta, 무역, 수입, 수출 FTA(Free Trade Agreement)는 국가간의 무역협정으로 계약을 체결한 양국가간의 다양한 상품에 대한 관세율을 서로에게 유리하게 조정하여 서로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제도입니다. 상품의 종류에 따라서 관세가 0%인것도 있지만 자국산업의 보호가 필요한 상품들은 관세 조정이 힘든 부분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이 되었다고 해서 모두 관세가 폐지된 것은 아니니 미리 FTA 협정세율을 조사하고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FTA 협정세율 자동검색 http://fta...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