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글라데시의 경제 및 산업구조, 최근 수출 및 내수동향, 정부의 정책 등을 감안해 선정한 우리나라의 대방글라데시 수출 유망품목은 다음 표와 같음.
품 목 |
시장 현황 |
철강판 |
- 현지 산업 호조와 빌딩 및 인프라 건설 활성화에 따라 수요 증가 - 방글라데시는 철강제품의 純수입국 - 열연강판, 아연도강판, 후판 등이 對방 수출 주도 |
합성수지 |
- 기초산업 미발달로 화학제품의 대부분 수입에 의존 - 경제 호조에 따라 플라스틱 원료에 대한 수요 증가 - 저비용을 내세워 방글라가 플라스틱제품 생산기지로 부상 |
시멘트 클링커 |
- 시멘트 수요는 도로, 교량 등 인프라 건설 및 상업용, 주택용 건설 활성화에 따라 지속 증가 - 클링커는 현지 생산기반이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 |
섬유기계 및 기타 기계류 |
- 현지 의류 수출의 호조로 섬유기계 수요 증가 - 한국산 섬유기계는 가격경쟁력이 있고 품질도 우수하다는 평가 - 투자 심리 개선으로 기계류 수요가 전반적으로 증가세 |
섬유직물 |
- EU의 원산지규정 완화(2011년 1월부)로 수입산 직물의 수요 증가 예상 - 폴리에스터직물, 편직물 등 중심으로 수출 확대 기대 |
선박 엔진 및 부품 |
- 방글라데시의 조선산업 육성정책 추진 - 2만5000톤급 이하 소형선박을 중심으로 수주 증가 추세 - 선박부품, 원자재, 조선관련 기자재 등을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 |
컴퓨터 부품· 주변기기 |
- 현지 정부의 IT 분야에 대한 개발 및 투자 확대 : Digital Bangladesh 2021(IT 마스터플랜) 추진 등 - 데스크톱과 노트북 PC 보급 확대에 따른 부품 및 주변기기 수요 증가 |
전력 기자재 |
- 만성적인 전력 부족으로 발전기 수요 증대 - 발전 및 송배전 시스템 개선수요에 따른 관련 기자재 수입확대 기대 - 대체에너지 확보를 위한 태양광관련 기자재(인버터 등) 수요 증가 |
포장용지· 크라프트지 |
- 현지 의류 수출 호황으로 포장용지(골판지 원지) 수요 대폭 증가 |
군수물품 |
- 현지 무기체계의 노후화에 따른 軍 현대화 필요 - 전체 방위비예산이 전년보다 2억 달러이상 증액된 15억5000만으로 상향 조정 |
자료원 : 코트라 다카 무역관(KBC)
'무역정보 Blog > 무역 정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DDU, DDP의 차이점, 관세 미지급 인도조건, 관세지급 인도조건, 수출, 수입, 무역, 계약, 바이어 (0) | 2011.01.25 |
---|---|
무역협회 디지털 도서관에서 무역협회 발행 무역관련 책 다 읽어요! (0) | 2011.01.22 |
B/L(BL, 선화증권, 선하증권)의 종류, Master B/L, House B/L, Surrender B/L, 포워딩, 무역, 수입, 수출 (0) | 2011.01.12 |
무역 운임, 운송관련비용 종류 및 과세여부, 수출, 수입, 해상운송, 포워딩, 포워더, 운송회사, 해운 (0) | 2011.01.12 |
수출지원 가이드 다운로드 받기, 수출, 무역대행, 수출대행, 수출입대행, 해외영업, 해외마케팅, 신용장, 관세, 환급 (0) | 2011.01.11 |